1 분 소요

📌 코랩(Colab)에서 구글드라이브(Google Drive) 연동하기

구글 코랩에서 구글 드라이브에 연동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버튼을 클릭해서 드라이브에 연결하는 방법

2️⃣ 코드셀에 드라이브 마운트를 연결하는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방법




1️⃣ 버튼을 클릭해서 드라이브에 연결하는 방법

1.1 코랩 왼쪽 가장자리를 보면 파일 버튼이 보이는데,

파일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구글 코랩에서사용하고 있는 탐색창이 보인다.


1.2 좌측 상단에 있는 구글드라이브 버튼을 클릭한다.


1.3 구글드라이브에 연결하는 엑세스 창이 나오는데 Google Drive버튼을 클릭한다.


1.4 구글드라이브에 연결할 계정을 선택한다.


1.5 엑세스 확인창이 나오면 허용을 선택하면 된다.


1.6 드라이브에 마운트 되면 탐색창에 보이지 않았던 dirve폴더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thercomputer는 구글드라이브와 PC가 동기화된 공유폴더가 있으면 나타나고,
shareddrives 다른 멤버들과 공유된 드라이브시 나타난다.
개인적으로 팀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함께 공유하는
노트북이라면 공유드라이브 위치를
파일경로로 설정해주면 팀원들 다같이 노트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코드셀에 드라이브 마운트를 연결하는 코드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방법

코드셀에 코드를 입력하여 드라이브에 연결하는 방법도 간단하며, 그냥 아래 코드를 코드셀에 입력하고 실행하면 된다.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drive') 

drive.mount(‘content/drive‘)를 아래처럼 gdrive로 바꿔도 연결된다.

from google.colab import drive
drive.mount('/content/gdrive')

1️⃣에서 나온 엑세스 허용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해주면 된다.


마운트가 완료되면 코드 실행결과창과 탐색창에서 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첫 포스팅을 작성해 보았는데
가급적 구글 코랩에서 모든 노트를 작성하고 있다.😊😊😊
이미지는 typora를 사용해서 클립보드를 붙여넣으면 자동으로
구글드라이브에 저장되도록 하였고,
구글드라이브에 있는 이미지 파일을 공유한 뒤
공유링크를 코랩 노트북에 붙여넣으면서 작성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도 포스팅을 통해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댓글남기기